카테고리 없음

위험분석 - 정량적분석과 정성적분석

bae_g0 2020. 12. 9. 00:50

* 정량적 분석
- 위험을 금액으로 산정 가능 시
- 성능 평가 용이, 객관적 평가 기준 제공
- 계산 복잡, 비용 소요, 수작업 시 신뢰도는 벤더에 의존
(1) 수학공식법
> 위협의 발생빈도를 식으로 계산해 위험 예상
> 위험을 간결하게 표현 가능
> 기대손실을 추정하는 자료의 양이 적음
(2) 과거자료분석법
> 과거의 자료를 통해 위험 발생 가능성 예측
> 과거자료 많을수록 정확도 상승
> 발생빈도 낮을 경우 적용 어려움
(3) 확률분포법
> 미지의 사건 추정 시 확률적 편차 이용
> 최저, 보통, 최고의 단계로 위험평가 예측, 정확성 낮음
(4) 점수법
> 위험발생 요인에 가중치 두어 위험 추정, 분석 빠르나 정확도 낮음
(5) 연간예상손실
> 단일예상손실(SLE) = 자산가치 * 노출계수
> 연간예상손실(ALE) = 단일예상손실 * 연간발생률


* 정성적 분석
- 자산의 화폐가치 식별 어려운 경우
- 경험이나 판단 등 이용해 위험도를 가중치로 표현
- 노력이 적게 드나 주관적
(1) 델파이법
> 전문가그룹 이용해 시간과 비용 절약 가능, 추정의 정확도 낮음
(2) 순위결정법
> 비교우위 순위 결정표에 위험 항목들의 서술적 순위 결정
> 분석이 빠르나 위험추정의 정확도 낮음
(3) 시나리오법
> 일정 조건하에서 위협에 대해 발생 가능한 결과를 추정
> 이론적 추측일 뿐 정확성 등 낮음
(4) 퍼지행렬법
> 자산의 가치를 화폐로 표현해 위협발생확률을 수학적으로 계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