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테고리 없음
무선랜 보안 취약점
bae_g0
2020. 6. 22. 21:37
(1) 물리적인 취약점
- 무선AP의 외부 노출 : 비인가자에 의한 장비의 파손, 리셋을 통한 설정 초기화 등
- 무선 단말기의 분실위험 및 정보유출 : 분실 시 저장 데이터 유출 및 무선랜 내부 보안설정이 함께 유출될 가능성
(2) 기술적인 취약점
- 암호화하지 않은 통신 데이터에 대한 도청 : 공기를 전송매체로 하여 브로드캐스트하는 특성 -> 도청/스니핑에 매우 취약
- 무선전파 전송 장비에 대한 서비스 거부 공격(DoS) : 무선랜 무력화 or 통신에 영향
- 비인증 AP(Rogue AP)를 통한 전송 데이터 수집 : 불법적으로 무선 AP 설치해 사용자 개인정보 등 전송 데이터 수집
(3) 관리적인 취약점
- 무선AP 장비에 대한 관리 미흡 : 관리 소홀로 장비 파손/도난
- 사용자의 보안의식 부족 : 전체 서비스의 보안에 허점 발생 가능
- 전파 출력 관리 부족 : 무선랜 전파가 유출되는 경우 전파 정보를 수집해 취약점 파악하고 이를 이용해 공격 가능